척추질환은 40대 이상의 중 장년 층의 대표적인 질환이라고 안심해서는 안된다. 척주질환 중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은 20~30대 남성에서 오히려 빈번하게 발생한다.
전남대학교병원에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지난 8년간 강직성 척추염으로 치료받은 외래환자는 총 2,866명이었으며, 20대 ~ 30대 환자가 1,795명으로 전체 환자의 62.6%로 가장 많았다. 이중 남성은 1437명으로 80%를 차지해 여성에 비해 발병률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남대학교병원에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지난 8년간 강직성 척추염으로 치료받은 외래환자 추이 |
▲ 강직성 척추염은 20~30대 남성의 발병 비율이 오히려 높다. |
강직성 척추염이 의심되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강직성 척추염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척추가 대나무처럼 연결되는 강직을 초래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든 방향의 척추 운동이 어려워지고 등이 앞으로 굽으며 목도 움직이기 어려워진다. 가슴뼈의 강직이 올 경우 가슴이 확장되지 않아 가벼운 운동에도 숨이 차게 된다.
전남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김태종 교수는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은 아침에 일어나면 허리 및 골반이 뻣뻣해지는 강직현상과 요통이 주된 증상으로, 허리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고 한번 시작된 통증은 3개월 이상 지속된다는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또 김태종 교수는 “다리가 저리는 증상 없이 3개월 정도 허리통증이 지속된다면 방사선검사와 혈액검사를 받는 것이 좋으며, 최근에는 CT, MRI와 같은 영상 검사 등으로 조기 진단이 가능하게 됐다”며, “운동은 통증을 줄여줄 뿐 아니라 관절을 부드럽게 풀어주기 때문에 체조와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고 허리와 목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통해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면 뻣뻣함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