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보건복지부 "중국 마스크 300만장 지급 사실 아니다" " 앞으로 中 물품지원 시 국내 수급상황 고려하겠다"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한편 "정부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국민의 안전을 볼모로 한 시장 질서 교란 행위를 절대 용납치 않을 것이며 최대한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경한 어조로 대응하기도 했다. 한편 정부가 마스크 300만 장을 중국에 지원한다는 최근 일부 언론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
보툴리눔 주사 불법 유통한 제약업체 영업사원 검찰 송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전문의약품인 보툴리눔 주사제를 불법유통한 제약업체 영업사원 A씨(남, 44세)와 B씨(남, 40세)를 비롯해 무자격 중간유통업자 4명에 대해 「약사..
연명의료결정제도 시행 2년, 제도 이용 지속적 증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지난 2018년 2월 4일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처음 시행된 이후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국민이 57만 명을 넘어서고, 8만 5000여 명이 연명의료 결..
우한폐렴 첫 완치자? HIV 항바이러스제 효과 톡톡
corona
우한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에이즈 원인) 항바이러스제가 우한폐렴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태국에서 HIV 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접촉한 사람은 1천318명
질병관리본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확진자는 4일 기준으로 16명이다. 16명에 대한 접촉자는 1천318명으로 집계됐다. 지금까지 유증상자로 조사받은 사람은 607명이고 이 중 확진..
태국 여행한 16번째 확진자, 중국 외 감염 첫 사례 가능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확진자 국내 신고 및 관리 현황 (2.4일 오전 10시) /질병관리본부
4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진자가 1명 추가되어 현재까지 국내 확진자는 16명이다. 16번째 환자는 최근 태국여행을 다녀온 것으로 미루어 태국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2월 3일자 확진환자 15명 세부현황
2월 3일 확진자 세부사항 / 질병관리본부 제공
질병관리본부가 제공한 2월 3일자 확진환자 15명 세부현황..
법무부 "4일부터 中 후베이성에서 국내 입국 금지"
4일부터 중국인들의 국내 입국이 까다로워진다. 국무부는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과 관련하여 국무총리 주재 '중앙사고수습본부' 범정부 대책회를 열고 중국들의 국..
밀접/일상 구분없이 일괄 '접촉자'로 변경.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대응지침.
2월 3일 통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4일부터 밀접접촉자와 일상접촉자를 구분하던 종래 접촉자 구분을 폐지하고 일괄적으로 '접촉자'로 구분한 뒤 자가격리 조치 하기로 대응지침을 변경했다...
국내의 7만 중국인 유학생 관리방안은?
3월 대학의 개학시즌 맞춰 중국으로부터 입국하는 중국 유학생들에 대한 우려가 상당하다. 이에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 대학 개강 연기 권고를 방침으로 가닥잡았..
코로나바이러스 "접촉" 통해서도 감염되나
virus
우한페렴의 원인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의 집의 문 손잡이에서 바이러스의 핵산이 검출되었다고 광저우일보를 인용하여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지금까지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비말(침방물)..
코로나 확진자 12명, 유증상자 371명 조사
seoul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월 1일 오전 9시 현재, 총 371명의 조사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진단검사를 시행하여 12명 확진, 289명 검사 음성으로 격리해제, 70명은 검사..
중앙사고수습본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진자의 확인되지 않은 개인정보 확산 사건 수사 의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진자의 이름, 나이, 거주지 등에 대한 확인되지 않은 개인정보 문건 다수가 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발생 현황 안내
corona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5~7번째 환자에 대한 추가 역학조사 경과를 발표했다. 5번째 환자(33세 남자, 한국인)는 우한시 업무차 방문 후 1월 24일 우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을 위한 의사과학자 양성방안 모색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1일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제6회 헬스케어 미래포럼"을 개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