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동 순환기내과 교수와 송윤미 가정의학과 교수, 홍경표 순환기내과 교수(퇴직)팀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17만 8,812명의 수입, 건강검진이력, 사인 등을 비교한 결과, 가계 수입 증가가 생존율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고소득이 아니라도 수입이 늘어나면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더 낮아졌다.
연구팀은 2002년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상·하위 30%와 중위 40% 3 그룹으로 나눠 상·중·하위 소득층으로 분류했다. 또한 정기적 건강검진 이력이 있고 허혈성 심장 질환, 뇌졸중, 심부전 및 암 병력이 없는 사람들로 선별했다.
10년의 추적 기간 중 대상자 4.1%가 사망했고 그 중 0.9%가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해 사망했다. 상위 소득층 사망률은 3.6%였고 이 중 0.7%가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해 가장 낮은 반면 하위 소득층은 사망률 5.5%, 심혈관질환 사망률 1.2%로 보여 대조를 이뤘다.
상위 소득층은 수입 변동에도 사망률이 큰 차이가 없었다. 수입 오르내림(증가/감소)이 있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1%로 가장 낮았다. 수입이 감소하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4%로 다소 높았다.
중위 소득층부터는 수입 변동에 따라 사망률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수입이 고정되거나 감소하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8~9%로 수입 상승세 혹은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4배 이상 높았다. 수입이 감소하던 상위 소득층 사망률 보다도 2배 이상 높았다.
하위 소득층 중 수입 변동이 없던 사람들이 사망률 13%로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이는 수입이 감소하던 상위 소득층보다도 3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반면 소득 분위를 불문하고 소득이 증가하거나 오르내림이 있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2~4%로 큰 차이가 없었다.
소득 분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하위 소득층은 흡연, 운동 부족, 불건강한 식습관 같은 위험요인들의 영향과 함께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 등 적절한 예방 조치를 받지 못하는 등의 요인들이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미국 연구 중에는 수입 증가가 건강관리를 하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성지동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확연하게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차이가 있어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소득이 증가한 경우에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소득 양극화를 완화시키는 복지 정책이 복지 자체로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본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IF 4.542, 2017년) 6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