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중앙자살예방센터(센터장 백종우)는 11일 「2016년 ~ 2018년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결과를 발표했다.
2013년부터 시행해온 이 사업은 병원 내 응급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사례관리팀으로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를 조직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시도자에게 응급치료, 상담 및 심리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급여 1종․2종 수급권자, 자살 재시도자, 자살 유족 등에 대해서는 생명보험 사회공헌재단과 연계하여 치료비를 지원한다.
자살시도자가 퇴원한 후에는 전화 및 방문을 통한 사례관리를 진행하고, 정신건강 및 복지서비스 등 지역사회의 자원을 연계하여, 자살 재시도를 막는 것이 목적이다.
사업 참여기관이 '16년 27개에서 '17년 42개, '18년 52개 병원으로 확대되면서 사업 참여기관의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수도 '16년 8,372명, '17년, 1만 2268명, '18년 1만 7553명으로 증가했다.
2016년~2018년 이 사업을 수행한 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총 3만 8193명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 중 과거 자살을 시도한 비율은 34.9%이며, 향후 자살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의 절반정도(47.1%)는 1개월 이내에 자살 계획이 있다고 하는 등 자살 재시도의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자살시도 동기는 △정신과적 증상(31.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관계(21.0%), △말다툼 등(12.5%), △경제적 문제(9.6%), △신체적 질병(6.7%) 순으로 나타났다.
자살시도자의 절반 이상(52.0%)이 음주 상태*였고, 자살시도자 대부분이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했으며(87.7%), 절반 이상이 자살시도 시 도움을 요청(50.8%)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살시도의 진정성 항목에서도 '도움을 얻으려고 했던 것이지, 정말 죽으려고 했던 것이 아니다'로 응답한 비율(37.3%)이 '정말 죽으려고 했으며, 그럴만한 방법을 선택했다'고 응답한 비율(34.8%)보다 높았다.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에 대한 치료비 지원 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치료비 지원은 자살시도자를 적정서비스로 유입하고,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치료비 지원은 사후관리에 대한 동의를 전제로 제공되기 때문에 치료비 수혜자 546명 중 516명(94.5%)이 1회 이상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나타나 의료비 비수혜자(49.5%)에 비해 사후관리 서비스에 대한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사후관리서비스 1회 접촉(516명) 이후 최종 4회 접촉까지 지속된 경우도 89.1%(460명)로 의료비 비수혜자 68.3%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장영진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하는 병원을 지난해 52개에서 올해 63개 병원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등 8개 병원이 새롭게 선정(붙임 참조)되었으며, 상반기 중 3개 병원을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