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이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 및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2만 9262건으로 11년 전인2006년보다 50% 이상 증가하였다.

조사대상은 2006-2017년 사이의 급성심장정지 사례이다.

심정지발생건은 '06년 1만 9480건, '11년 2만 6382건, '15년 3만 771건, '17년 2만 9262건이었고, 장정지 발생률(인구 10만명당)은 '06년 39.8명, '11년 52.6명, '15년 60.4명, '17년 57.1명이었다.

환자 중 남자 비율은 64~65%로 여자보다 약 2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새의 주 원인은 질병에 의한 것이 70%을 차지했고,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5%이상이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이며, 전체의 약 50%이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17년 생존율은 8.7%,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06년 대비 각각 3.8배, 8.5배 증가했다. '16년에 비해 향상된 결과이다.

한편 발표에 따르면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증가하는 긍정적 변화도 있는 반면 생존율의 지역간 차이는 지난 11년간 2배 증가('06년 4.2%p → '17년 8.6%p)하였다. 또한 뇌기능 회복률의 지역간 차이는 '17년에는 전년보다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06년 1.6%p→ '16년 7.3%p→ '17년 5.9%p).

한편, 심폐소생술의 일반인 시행률은 매년 증가 추세로, '17년에는 9년 전에 비해 약 11배 증가('08년 1.9% → '17년 21.0%)하였고, 지역 간 시행률 격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08년 2.5%p → '17년 26.9%p).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하정열 이사장은 "환자 발견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도록 하고,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우리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