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인슐린의 혈당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규명했다.
전남대 최홍식 교수와 고려대 구승회 교수 공동 연구팀은 체내 당 균형을 유지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에 의해 발현된 '스마을(SMILE)이라는 단백질이 당을 생성하는 효소 유전자를 억제해 당농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에 이상이 생겨 체내 포도당을 적절히 제거하거나 저장하지 못한 채 소변으로 배설하기 때문에 생기는 대사질환이다.
연구팀은 음식을 끊었다가 먹인 쥐에게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자 스마일이라는 단백질 유전자 발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이런 과정에서 당을 증가시키는 효소인 G6Pase와 PEPCK는 유전자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연구팀은 쥐의 간에서 분리한 1차 배양세포에서도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
이에 반해 유전적으로 인슐린 수용체가 손상된 쥐나 비만 모델의 쥐에서는 스마일 단백질이 증가하지 않아 당합성이 억제되지 못한 채 혈당이 높아졌다고 연구팀은 보고했다.
이번 연구는 스마일이라는 단백질 유전자가 당을 생성하는 효소의 발현을 억제해 당농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한 점에 의의가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최홍식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인슐린의 당 조절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인슐린의 기능과 관련된 기초 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향후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개발의 토대를 마련한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당뇨분야 학술지인 '다이아베티스' 온라인판 4일자에 실렸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