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13일 서울시가 마련한 공공의료 혁신 토론회 자리에선 전염병에 선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토론회 인사말에서 "메르스 사태가 우리에게 남긴 교훈을 다시금 깊이 생각해봐야 할 때"라며 "정보의 투명한 공개와 공공기관, 의료인의 책임성이 메르스 확산 방지의 특효약이었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또 "메르스 사태 초기, 서울시가 독단적으로 행동했다는 오해를 사면서 중앙정부와 약간의 마찰이 있기도 했지만 감염병 조기 차단을 위해 선제적인 대응을 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란 점 이해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박 시장은 그러면서 시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공공의료 혁신을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기모란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 교수,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의 발표가 이어졌다.

기 교수는 삼성서울병원 입원환자와 외래환자, 응급실에 들른 내방객, 간병인, 의사, 간호사 등으로 확진환자 유형을 분석했으며 성·연령·기저질환 여부로도 나눴다.

기 교수는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평균 잠복기는 6.5일이었지만 범위는 2일부터 16일까지 다양했다고 밝혔으며, 치명률은 18.8%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유 교수는 중앙정부가 선제성을 잃고 대응했으며, 실무자의 현장 파악능력 부재로 황금시간을 놓쳤다고 지적했다. 특히 응급실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해 메르스의 '숙주'가 됐다고 설명했다.

유 교수는 "필수 정보의 생산과 유통, 소통의 우선순위가 불명확했고 보건당국과 의료기관간 메시지 단일화에도 실패했다"며 "감염병 대응 체제도 '즉각성'보다 '선제성'으로 전환해야 하고 불확실함을 관리하는 전략과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서울시의 방역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로 실시간 감시체계 구축, 역학조사 전문인력 확보, 방역활동 모니터링 체계 구축, 병원 내 전파 및 의료인 감염 예방 수준 향상 등을 꼽았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