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같은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공중 보건'을 '공공재'라는 개념으로 확대해 국가가 투자를 주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세계보건기구(WHO) 메르스 합동평가단 공동 단장이었던 이종구 서울대의대 교수는 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림원 주최로 열린 '메르스 현황 및 종합대책' 토론회에서 "(메르스 사태로) 사회 여러 곳에서 각종 취약점이 드러났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날 발제문 요약본을 통해 "앞으로는 사회 보건안전에 대한 기준을 바꾸고, 병원에 대한 안전잣대를 높여야 재난적 병원감염이 예방되고 안전문화 형성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메르스 확산 상황에서 관찰된 문제점을 거론했다.
그는 정보소통 부재에 따른 부실한 메르스 역학조사, 미흡한 병원감염 예방조치 및 접촉자 추적·격리조치를 주요 문제로 지적하며 국제 사회에도 국내 메르스 정보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국가신인도 하락에 따른 경제 타격이 컸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9월 한국이 개최하는 국제보건안보 고위급회의를 계기로 국가 신뢰회복을 위한 '응급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9월 회의 이후로는 신종 감염병 유행으로 초래된 보건안보 위기 등을 극복할 중장기 과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대책으로 에볼라 등 WHO 감시대상 감염병을 1군으로 지정하는 등 감염병 관련 법령과 운영체계를 정비해야 하며 감염병 감시망을 대폭 확충해 '고위험 감염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자고 촉구했다.
또 질병관리청(중앙)-감염병관리본부(시·도)-현장응급대응센터(시·군·구)로 이어지는 감염병 컨트롤타워 체계를 구축하고, 국내외 위기소통 강화 차원에서 '감염병 미디어 센터'를 만들어 해외 홍보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