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유방암 환자라도 자녀를 2~3명 출산한 여성이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에 비해 유방암 치료 후 생존율이 최대 61%가량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유방센터 이정선 교수와 부산백병원 임상시험센터 오민경 교수팀은 1993~2009년 한국유방암학회에 등록된 유방암환자 2만9천167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폐경 전·후를 기준으로 유방암 환자들의 출산 자녀 수와 첫 분만 나이에 따라 생존율에 차이를 보였다.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은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보다 4명 이하의 자녀를 둔 여성에서 더 높았다. 출산 자녀 수별 생존율 향상 효과는 1명 53%, 2명 61%, 3명 42%, 4명 10% 등이었다. 그러나 5명 이상을 출산한 여성은 출산하지 않은 여성보다 오히려 생존율이 33% 감소했다.

이와 달리 폐경 후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여성의 경우는 2명과 3명의 자녀를 뒀을 때만 생존율이 각각 1.4%, 25% 높았다. 자녀가 1명, 4명, 5명 이상인 여성은 생존율이 각각 34%, 0.8%, 62%가 줄었다.

첫 분만 나이도 유방암 생존율에 영향을 미쳤다.

폐경 전 유방암으로 치료받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20세 이전에 첫 분만을 한 여성이 출산하지 않은 여성보다 56%가량 생존율이 높았다. 이런 생존율 향상 효과는 20~24세(57%), 25~29세(62%), 30세 이상(63%)에서도 관찰됐다. 그러나 폐경 후 유방암 진단 여성은 첫 출산 나이가 25~29세 일 때만 생존율이 16.6% 증가했을 뿐 나머지 연령에서는 감소했다.

이번 연구에서 모유수유 여부는 폐경 전·후 환자 모두에서 유방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정선 해운대백병원 유방센터 교수는 "출산 경험이 없는 것 자체가 유방암의 위험요소라기보다는 출산력이 예방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이런 효과는 폐경 후에는 점차 사라지고, 오히려 다산한 여성은 오히려 삶의 질이 나빠짐으로써 유방암 생존율에도 부적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여성건강 관련 국제학술지(BMC Women's Health) 최근호에 발표됐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