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부터 PC방 전면 금연을 실시했지만 실내 공기 질은 크게 나아지지 않아 정부 금연정책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2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이기영 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PC방 전면 금연 정책 시행 전후로 PC방 실내 미세먼지 (PM2.5) 농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M은 공기 중에 에어로졸 형태로 존재하는 입자상 물질을 가리키는 용어로, 뒤에 붙은 숫자는 입자의 크기를 나타낸다. PM2.5는 크기가 2.5㎛인 입자상 물질이며 주로 담배 관련 오염물질이 여기에 속한다.
연구진은 PC방 금연 정책 계도 기간이었던 2013년 10월 29일부터 2013년 13월 31일까지 서울·천안·군산·대구 지역 PC방 56곳, 금연정책이 시행된 2014년 1월 1일부터 3월 11일까지 같은 지역의 PC방 118곳의 PM2.5 실내 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5분마다 파악한 PC방 내 흡연자 수는 계도 기간에 평균 7.8명, 금연정책 시행 후 2.3명으로 3분의 1 정도 감소했지만, 금연 정책이 시행된 이후에도 조사 대상 PC방 중 47%에서 흡연자가 관찰됐다.
PM2.5 평균 농도도 계도기간 64.7㎍/㎥, 정책시행 후 64.3㎍/㎥로 차이가 없었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2010년 국내 연구 결과를 통해 드러난 PC방 실내 금연 구역의 PM 2.5 농도인 75±16㎍/㎥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으며 미국 국가대기질기준(NAAQS)의 35㎍/㎥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금연 정책 시행 이후에도 실내 공기 질이 좋아지지 않은 데 대해 PC방 내 흡연실 설치가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PC방 전면 금연이라고 해도 흡연실과 금연공간이 분리되지 않아 담배 연기가 바깥으로 새어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PC방의 PM 2.5 실내 농도 변화를 봤을 때 PC방 금연이 법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에도 금연정책의 효과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PC방 흡연실 탓에 초미세입자에 심하게 노출되고 PC방 이용자도 보호하지 못하므로 금연정책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PC방 내부의 전면 금연을 시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최근호에 '금연정책 시행이 전국 PC방의 간접흡연에 미치는 영향'이란 제목으로 실렸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