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3세 비만 아동의 약 70%가 성인 비만에 걸리는 등 소아 비만에서 성인 비만으로 진행하는 비율이 높아 적극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국대 일산병원 오상우 교수는 9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열린 '소아·청소년 비만 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제43회 보건의 날 기념 건강보장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오 교수는 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을 비만으로 보는 서구와 달리 우리나라는 BMI 25 이상을 비만으로 여기고 있어 비만율 기준이 더 엄격하지만 소아·청소년 비만이 심각해지는 상황을 부인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1997년 5.8%에서 2012년 9.6%로 증가했고 교육부가 조사한 초·중·고교 비만 학생 비율도 2006년 11.6%에서 2014년 15%로 늘었다.
오 교수는 "증가하는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성인 비만 이환율에 영향을 끼친다"며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에 따르면 6개월 영아 비만의 약 14%, 7세 소아 비만의 약 41%, 10∼13세 비만의 약 70%가 성인 비만으로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역시 발표자로 참석한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문진수 교수도 "소아·청소년 비만은 성인 비만과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대사증후군으로 이어지고 관절 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우울증 등 정신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외국에서는 10세 비만 아동의 평생 의료비가 동년배의 정상 체중 아동보다 1만6천300달러∼3만9천80달러(약 1천784만∼4천277만원) 많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전했다.
그는 "소아 비만은 태아, 영유아기부터 시작해 가족 중심으로 접근하고 약물보다는 적극적인 인지-행동 수정 요법을 적용해야 한다"며 "일부 선진국이 소아·청소년 비만에 적극 개입해 비만 유병률을 조정하는 데 성공을 거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건보공단 비만관리대책위원장인 문창진 차의과대학 부총장이 좌장을 맡고 서울시교육청 체육건강과 권순수 장학사, 건보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최영은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건보공단은 비만관리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국내외 소아·청소년 비만 정책사례들을 폭넓게 수집해 비만 폐해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소아· 청소년 비만 예방과 관리를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해 실행할 계획이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