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세포 내 자가포식 기능을 활용해 당뇨병 발병인자를 억제하는 방법을 찾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삼성서울병원 이명식 교수 연구팀과 울산의대 강상욱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이러한 연구 성과를 냈다고 23일 밝혔다.
성인들에게 나타나는 당뇨병의 90% 이상은 췌장 세포에 축적된 불용성 단백질인 아밀로이드가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밀로이드의 축적 과정이나 이를 제거하는 방법은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세포 내 손상된 분자나 세포소기관을 제거하는 '자가포식'이 아밀로이드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실제 실험 결과 같은 종류의 아밀로이드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보유한 생쥐에서 자가포식을 못하게 했더니 당뇨병이 발병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 가설은 입증됐다.
축적된 아밀로이드를 자가포식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세포가 손상돼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이 생쥐에 자가포식을 활성화하는 '트레핼로스'라는 물질을 투여하자 아밀로이드 축적이 줄면서 당뇨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가포식 조절제가 당뇨병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 성과는 당뇨병처럼 아밀로이드 축적이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제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앞으로 사람에 대한 임상시험 등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해 실제 치료제 개발까지는 최소 5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성과는 지난 18일 기초·임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임상연구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온라인판에 실렸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