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서대헌 교수
청소년과 젊은 층에게 특히 많이 생기는 여드름의 주원인이 섭취하는 음식물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국내의료진이 수행한 연구에서 밝혀졌다.

지금까지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년 전부터 해외에서 음식이 여드름 발생과 악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하면서 음식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서대헌 교수팀은 실제 한국인의 여드름이 음식과 연관성이 있는지, 있다면 어떠한 음식들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피부과 여드름클리닉을 방문한 783명의 여드름 환자와 502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음식물에 관한 설문 조사와 혈액검사를 시행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영양학, 통계학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과학적으로 세분화했다.

또한 혈액검사를 통해 인슐린, 인슐린유사성장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단백질과결합인슐린유사성장인자-3(insulin 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 IGFBP-3), 테스토스테론 등도 측정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여드름의 악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가장 많은 대답이 나온 항목은 남성의 경우는 음식물이었으며 여성의 경우는 생리 다음으로 음식물이 영향을 많이 준다고 답했다.

녹황색 채소, 콩 등은 당부하지수(glycemic load, GL)가 10미만인 것으로, 정상인에서 여드름 환자에 비해 섭취량이 많았던 반면, GL이 20 이상인 햄버거, 도넛츠, 크라샹, 떡, 비스켓, 와플, 라면, 콜라 등의 탄산음료 등 인스턴트 식품은 여드름 환자에서 유의하게 소모량이 많았다.

최소 17%에서 최대 50% 이상 여드름에 대한 발병 혹은 악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겹살, 삼계탕, 프라이드치킨, 견과류(호두, 땅콩, 아몬드 등), 삶은 돼지고기 등 고지방음식도 여드름 환자에서 유의하게 소모량이 많았으며 최소 13%에서 최대 119% 까지 여드름에 대한 발병 혹은 악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삼겹살, 프라이드 치킨, 견과류는 음식에 의해 여드름이 영향을 받는다고 대답한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섭취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차이는 최대 49%에 달했다. 가공 치즈 등 유제품도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등푸른 생선의 경우는 정상인에서 섭취량이 많았고 김, 미역 등 해조류는 여드름 환자에서 유의하게 소모량이 많았다. 이것은 각각 생선에 함유된 지방산의 종류 (특히 오메가-3 지방산) 가 여드름을 호전시킬 수 있고, 해조류에 많은 요오드는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불규칙한 식사 습관도 여드름의 악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각 끼니에 대해 1주일에 3번 이상 거르는 것을 불규칙하다고 보고 조사한 결과 여드름 환자군에서 불규칙하게 식사를 하는 경우가 58%인데 반해 정상인에서는 29%에 불과해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여드름 환자에서는 특히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았다.

혈액검사에서는 여드름이 음식에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 그룹에서 혈중 IGF-1수치가 유의하게 높았고 반대로 IGFBP-3수치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치는 일련의 호르몬 반응들을 발생시켜 결국 여드름의 발생 및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

서대헌 교수는 "한국인 여드름 환자에게서 여드름의 유발 및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당부하지수가 높은 음식, 고지방음식, 요오드 함유량이 높은 음식, 유제품 등의 섭취를 줄이며 규칙적인 식사를 해야 한다. 여드름 치료와 함께 이제는 음식과 여드름의 관련성을 제대로 알리고, 이러한 음식들을 피하도록 식이요법을 병행 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피부과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유럽피부과학회지 최신호(11월호)에 게재돼 인터넷판으로 먼저 출간됐다.

※ 당지수란 기준이 되는 탄수화물 (주로 흰 빵이나 포도당)의 혈당 반응에 대한 테스트 음식의 혈당반응의 비율에 100을 곱한 것이다.

당부하지수란 제공되는 음식의 당지수에 섭취하는 음식 100g 중 탄수화물의 양을 곱한 것이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