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불노초에 연연하던 중국 진시황의 예를 보지 않더라도, 생활이 여유로워 질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은 동서고금의 진리로 인식되어진다. 그래서인지 등산이 주는 여러 장점들이 널리 인식된 요즘에 등산은 이미 우리나라의 다수 국민이 즐기는 국민 운동으로 자리를 잡은 지 오래다. 특히, 지루한 추위가 서서히 걷히며, 화사한 봄꽃들의 유혹이 한창인 요즈음에는 많은 사람들이 무엇인가 홀린 듯이 등산 장비를 챙겨 산을 오르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등산은 다양한 연령층이 즐기는 운동인 만큼 여러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충분한 준비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지난 2007년부터 작년까지 3년간(2007년~2009 8월) 국립공원 등산객의 사고 통계를 보면, 등산객에게 흔히 일어나는 사망 원인은 오히려 사고 보다 고혈압과 심장마비임을 말해 준다. 즉, 등산 중 사망 원인은 심장마비·고혈압 같은 신체결함(37명)이 가장 많았고, 추락사(25명), 익사(18명), 자연재해(6명)등으로 나타나 고혈압, 심장마비에 대한 대비를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굳이 불노초에 연연하던 중국 진시황의 예를 보지 않더라도, 생활이 여유로워 질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은 동서고금의 진리로 인식되어진다. 그래서인지 등산이 주는 여러 장점들이 널리 인식된 요즘에 등산은 이미 우리나라의 다수 국민이 즐기는 국민 운동으로 자리를 잡은 지 오래다. 특히, 지루한 추위가 서서히 걷히며, 화사한 봄꽃들의 유혹이 한창인 요즈음에는 많은 사람들이 무엇인가 홀린 듯이 등산 장비를 챙겨 산을 오르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등산은 다양한 연령층이 즐기는 운동인 만큼 여러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충분한 준비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지난 2007년부터 작년까지 3년간(2007년~2009 8월) 국립공원 등산객의 사고 통계를 보면, 등산객에게 흔히 일어나는 사망 원인은 오히려 사고 보다 고혈압과 심장마비임을 말해 준다. 즉, 등산 중 사망 원인은 심장마비·고혈압 같은 신체결함(37명)이 가장 많았고, 추락사(25명), 익사(18명), 자연재해(6명)등으로 나타나 고혈압, 심장마비에 대한 대비를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움말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혈관센터 조원민교수>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