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식품안전가가 물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박테리아의 번식지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 BBC에 따르면 재사용하는 물병 내부에는 박테리아가 하루 만에 수백만 마리까지 증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퍼듀대 식품안전 전문가 칼 벤크는 "물병을 닦았던 종이 타월이 흰색이었는데, 꺼냈을 땐 누렇게 변했다"며 "내부의 미끈거림이 재질 때문이 아니라 박테리아 때문이라는 걸 깨달았다"고 말했다.
벤크 교수는 이후 대학 캠퍼스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물병을 빌려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물병에서 다량의 박테리아가 검출됐다.
실제로 텀블러는 손, 입술 등과 자주 접촉하는 데다가, 우유·커피·주스 등의 음료 속에는 지방, 당, 단백질 등 세균의 먹이가 될 성분이 풍부하다.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끓인 물조차도 하루 동안 사용된 물병 안에서 박테리아 수가 7만 5000마리에서 100~200만 마리까지 증가했다. 텀블러를 관리하지 못해 세균이 증식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인디애나대의대는 지난해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등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물병 여섯 개의 세균과 병원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여섯 개 중 한 개의 물병에서 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포도상구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세균 중 하나이다. 연부 조직 감염, 중이염, 인후염, 폐렴, 심내막염, 식중독 등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텀블러에 붙어있는 각종 세균은 물로 지워지지 않아 반드시 세제와 솔로 구석구석 닦아야 한다. 특히 베이킹소다는 살균·정화 효과가 있어 텀블러 물때 제거에 도움이 된다. 벤크 교수는 "세제와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을 사용해 10분 정도 담가두고, 꼼꼼히 헹군 후 공기 중에 말리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텀블러를 물로 헹구고, 베이킹소다를 섞은 뜨거운 물에 한 시간 정도 담아둔 뒤 씻으면 된다. 스테인리스 빨대, 텀블러 뚜껑, 실리콘 마개도 함께 닦도록 한다. 베이킹 소다 대신 달걀 껍데기를 소금 한 숟갈과 함께 미지근한 물에 넣어 씻는 것도 방법이다.
기름때가 있는 경우, 키친타올에 식용유를 묻혀 텀블러를 닦은 후 주방세제로 세척하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세척 후에는 반드시 잘 말려서 보관하도록 한다. 사용 중 코팅이 벗겨지거나 변색이 있을 경우에는 교체하는 것이 좋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