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갑자기 덜컥 내려앉는 듯하거나 빨리 뛰는 '부정맥' 증상이 나타날 때가 있다. 그러나 걱정하긴 이르다. 평소 건강하다면, 심장에 이상이 있다기보다는 그날 먹고 마신 것이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와인을 마신 후 부정맥 증상을 느꼈다면, 치즈를 안주로 곁들인 게 원인일 수 있다. 와인과 치즈에 풍부한 '티라민'이라는 성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일 수 있다. 티라민은 교감 신경을 흥분시켜 심장이 빨리 뛰게 할 수 있다. 이에 혈액 속 티라민 양이 많아지면 평소보다 심장이 빨리 뛰는 부정맥 상태가 됐다가, 티라민이 분해돼 혈중 농도가 옅어지면 원래의 심장 박동으로 되돌아온다.
티라민 고함량 식품을 먹으면 체내 티라민 수치가 갑자기 높아지므로 부정맥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커진다. 푹 익어서 갈변한 바나나와 식초에 절인 장아찌가 대표적이다.
고카페인 음료를 마셔도 부정맥 증상이 한때 나타날 수 있다. 카페인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교감신경이 흥분해 심박 수가 올라간다. 심장이 일시적으로 두근거릴 수 있다. 부정맥이나 심근경색 등 심장 질환을 이미 앓고 있는 사람은 교감신경이 특히 예민하다.
카페인 부작용이 일반인보다 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고카페인 음료를 멀리하는 게 좋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카페인 함량이 액체 1mL당 0.15mg 이상이면 고카페인 음료로 분류하고 있다. 평소 심장이 건강한 사람도 성인 하루 카페인 섭취 권장량인 400mg 이상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한편, 부정맥 증상이 잦으면 한 번쯤 병원에 가 보는 게 좋다. 심전도 검사를 통해 심장의 전기적 이상을 포착하면 부정맥을 진단받을 수 있다. 몸에 전극을 여러 개 붙이고 10초가량 진행하는 검사다. 10초 안에 부정맥 증상이 포착되지 않았다면 기기를 24시간 휴대하며 측정할 수 있는 '활동 중 심전도' 검사를 시행한다. 부정맥 치료에는 생활 습관 교정을 빼놓을 수 없다. 술, 담배, 카페인을 자주 즐긴다면 빈도를 줄인다. 항부정맥 약제를 이용한 약물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