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교대 근무를 하는 사람도 밤에는 먹지 않고 낮에만 음식을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야간 교대 근무는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9일 미국 하버드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프랭크 시어 교수팀은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젊고 건강한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임상시험은 야간 교대 근무를 모방하고 식사 시간을 통제하면서 심혈관 질환 위험 지표 등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야간 근무자도 낮에만 식사하면 야간 교대 근무해도 심혈관 질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교대 근무와 관련된 심혈관 건강에서 수면 시간보다 식사 시간이 더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젊고 건강한 참가자 20명에게 2주간 임상연구센터 내 시간을 알 수 없는 공간에 머무르도록 했다. 그리고 이들이 야간 교대 근무하게 하고 식사 시간을 조절하면서 신체 기능 변화를 측정해 야간 근무와 식사 시간의 영향을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공통으로 어두운 조명 환경에서 32시간 동안 깨어 있으면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고 매시간 같은 간식을 먹은 다음 모의 야간 근무에 참여했다. 다만, 일부는 낮과 밤에 식사하는 그룹에, 일부는 낮에만 식사하는 그룹에 배정됐다.


연구팀은 자율 신경계 지표와 혈전 위험을 증가시키는 플라스미노젠 활성제 억제제-1, 혈압 등 다양한 심혈관 위험 인자를 측정했다. 그 결과, 낮에만 식사한 참가자들은 심혈관 위험 인자가 야간 근무 전과 후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낮과 밤에 식사한 참가자들은 야간 근무 후 위험 요소들이 모두 기준선에 비해 증가했다.


많은 연구에서 교대 근무는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을 높이는 등 심혈관 질환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시어 교수는 야간 근무나 시차 등 일 주기 불일치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연구에서는 음식 섭취 시간이 교대 근무와 관련한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고 전했다.


논문 제1 저자 겸 공동 교신저자인 새러 첼라파 교수는 "이 연구는 모든 요인을 통제했기 때문에 두 그룹의 야근 후 심혈관 위험 요소 차이는 수면 시간이나 식사 자체보다 식사 시간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주간과 야간 식사의 장기적 영향을 알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이 결과는 식사 시간 조절을 통해 야간 근무자들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야간 시간대 식사를 피하거나 제한하는 것이 야간 근무자나 불면증·수면-각성 장애를 겪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