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을 들으면 혈압과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독일 보훔루르대 한스 요하임 트라페 교수팀은 심장 병력이 없는 60명을 대상으로 음악이 혈압·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무작위로 참가자를 세 집단씩 나눠 각각 모차르트, 요한 슈트라우스, 스웨덴 팝 그룹 아바의 곡을 25분간 듣게 했다. 이후, 참가자들의 혈중 코르티솔 농도, 심박수와 혈압을 측정했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측정 결과, 모차르트와 슈트라우스의 음악을 들은 집단은 혈압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모차르트 음악을 들은 집단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각각 평균 4.7mmHg(수은 밀리미터), 2.1mmHg 떨어졌다. 슈트라우스 음악을 들은 집단도 수축기 혈압 3.7mmHg, 이완기 혈압 2.9mmHg 낮아졌다. 반면, 아바의 곡을 들은 집단은 혈압이 특별히 감소하지 않았다.
가사 없는 클래식은 심박수를 낮추는 데도 효과를 보였다. 특히 모차르트 음악을 들은 집단은 1분당 심박수가 평균 5.6번 감소해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슈트라우스 음악을 들은 집단은 1분에 평균 4.7번, 아바의 곡을 들은 집단은 3.0번 감소했다.
혈중 코르티솔 농도는 음악을 들은 세 집단 모두 감소했다. 모차르트와 슈트라우스, 아바의 곡을 들은 집단은 각각 코르티솔의 농도가 4.56µ/dL, 4.76µg/dL, 3.00µg/dL 줄었다.
연구팀은 클래식과 대중가요 모두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클래식의 일정한 진행과 반복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줘 혈압과 스트레스를 더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가사가 없는 음악이 혈압과 스트레스를 떨어트리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음악의 가사가 뇌의 영역을 활성화하고 감정을 유발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독일 의학 학술지 'Deutsches Ärzteblatt International'에 게재됐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