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으면 치매와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 한림대 의대 강동성심병원 신경과 연구팀에 따르면 나쁜 콜레스테롤(LDL) 수치가 70㎎/㎗ 미만인 사람들은 LDL 수치가 130㎎/㎗ 이상인 사람들에 비해 치매 위험은 26%, 알츠하이머병 위험은 2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해 복용하는 스타틴은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예림 박사(신경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 결과는 치매 예방을 위해 LDL 콜레스테롤 기준치를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한이 최적의 범위 내에서 스타틴 사용의 잠재적인 상승효과를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심장협회(AHA)의 LDL 가이드라인은 건강한 사람의 경우 100㎎/㎗ 미만, 심장마비나 뇌졸중 병력이 있는 사람의 경우 70㎎/㎗ 이하를 요구한다.


연구팀은 "이 가이드라인은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와 심장 질환 위험 사이의 명확한 연관성에 기초하고 있지만 LDL과 뇌 건강 사이의 관련해서는 상충되는 증거가 있었다"고 연구 배경을 밝혔다. 연구팀은 "초기 연구에서는 스타틴 사용을 통해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이 일부 인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며 "하지만 이후 자료에서는 LDL 수치가 낮은 것이 치매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이 실제로 뇌를 보호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LDL 수치가 70㎎/㎗ 미만인 19만2000여명과 LDL 수치가 130㎎/㎗ 이상인 37만9000여명을 포함하는 한국 내 대학병원 11곳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 자료로부터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은 사람과 높은 비슷한 사람들을 뽑아 10만9000여 쌍의 비교 조합을 만들었다.
그 결과, LDL 수치가 낮은 사람들은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모두 낮았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또한 LDL 수치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스타틴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사용하지 않는 낮은 수치의 사람들에 비해 치매 위험이 13%, 알츠하미머병 위험은 12% 낮았다.


연구팀은 "스타틴 사용은 LDL 수치가 70㎎ 미만인 개인의 치매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낮은 LDL 콜레스테롤로 인한 보호 효과는 수치가 감소함에 따라 줄어들었고, LDL 수치가 30㎎/㎗ 미만인 사람들 사이에서는 결국 사라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의 주요 결과는 치매 위험에서 LDL 수치의 결정적인 중요성을 강조한다"며 "LDL 수치가 낮으면 치매 발병률 감소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콜레스테롤 관리가 치매 예방의 기본이 되는 것을 뒷받침한다"고 결론지었다. 또 LDL 콜레스테롤이 뇌의 콜레스테롤 수치에 영향을 미치거나,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촉진하거나,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을 막음으로써 치매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스타틴은 뇌 염증을 줄이고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뇌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대사를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며 "그러나 이번 연구가 LDL 콜레스테롤과 치매 사이의 인과 관계를 증명할 수는 없고, 직접적인 연관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nd risk of incident dementia: a distributed network analysis using common data models)는 의학 학술지 ≪신경학, 신경외과 및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에 실렸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