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탑재된 이어폰과 헤드폰이 청각 및 뇌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나왔다.
영국 BBC는 '청각 정보 처리 장애(APD)'를 진단받은 25세 여성 소피의 사례를 보도하며,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을 장시간 사용하면 뇌의 소리 해석 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피는 영국의 조용한 시골 마을에서 대학 진학을 위해 런던으로 이주한 후 청력 이상을 감지했다. 주변 소리를 들을 수는 있었지만, 소리가 어디에서 나는지 알기 어려웠다. 사람의 목소리를 빠르게 이해하지 못했다. 특히 강의를 들을 때 말소리가 횡설수설로 들려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자막을 봐야 했다.
병원 청력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정밀 검사 결과 '청각 정보 처리 장애(APD)' 진단을 받았다. APD는 귀에서 소리를 정상적으로 감지하더라도 뇌가 소리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하는 신경학적 질환이다.이에 전문가들은 소피가 하루 5시간 이상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무선 이어폰을 사용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영국 청각학회 부회장 클레어 벤튼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듣고 싶은 소리만 듣게 하여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노력을 하지 않도록 만드는 환경을 조성한다"고 지적했다.그는 "뇌의 복잡한 청취 능력은 10대 후반이 되어야 발달이 완료된다"며 "이 시기에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을 장기간 사용하면 말소리와 소음을 처리하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이어폰 사용 시간 줄이기, 주변 소음을 들을 수 있는 '주변음 허용' 모드 활용, 귀를 완전히 막지 않는 이어폰 사용 등을 권장했다.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은 자동차 경적 같은 일상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기능을 약화시킬 수도 있기에 이어폰 사용 습관을 조절해 청각 및 뇌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