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 흡연을 시작할 경우 염증성 장질환의 일종인 궤양성 대장염의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전유경 교수팀에서 2009~2012년도 국내 건강검진 수검 데이터를 토대로 전국 650만 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염증성 장질환은 장에 만성적인 염증이 발생하며 설사와 혈변, 피로, 체중감소 등을 지속적으로 겪는 난치성 질환인데,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젊은 연령대를 중심으로 발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궤양성 대장염은 주로 대장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소화관 어디든 발생하는 크론병보다 예후는 나은 편이나 발생 빈도가 높아 전체 염증성 장질환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흡연은 이러한 염증성 장질환에 속한 두 질환에 정반대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왔다. 크론병의 경우 흡연자의 발병 위험이 뚜렷하게 높지만, 궤양성 대장염은 금연 시 발병률이 오히려 증가해 흡연이 유익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흡연은 체내 염증반응을 높이는 요인이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아직까지는 학계의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 20세 이전에 흡연을 시작한 사람들은 비흡연자에 비해 궤양성 대장염 발병률이 약 2배 높았다. 20~24세에 흡연 시작 시 1.73배, 25~29세는 1.68배 등 흡연을 시작한 연령이 낮을수록 궤양성 대장염 발병 위험이 증가했다. 반면 크론병의 경우 흡연 시작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발표한 분당서울대병원 윤혁·전유경 교수팀은 "염증성 장질환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난치성 질환으로, 식습관도 중요하지만 흡연 역시 중요한 요인이다"라며 "흡연 시작 연령이 낮을수록 궤양성 대장염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이 밝혀진 만큼 청소년기 흡연 예방을 활성화하고, 염증성 장질환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스크리닝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