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약을 먹는 것이 고역인 사람이 많다. 차의과대학 약대 손현수 교수팀 조사에 따르면, 만 65세 이상 노인 421명 중 34.9%가 알약 복용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했다. 알약을 삼키는 게 힘들다는 이유로 약 복용을 미루기도 한다고 답한 경우도 있다. 알약을 좀 더 쉽게 삼킬 방법이 없을까?
알약 형태에 따라 잘 삼키는 전략이 다르다. 물에 뜨는 캡슐 제형 알약의 경우, 고개를 숙인 채 삼키면 훨씬 쉽게 넘어갈 수 있다. 약을 입에 넣은 다음 물을 입에 한 모금 정도 머금고, 고개를 숙인 채 물만 삼킨다고 생각하면 된다.
정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정제를 혀 위에 놓고, 생수병 입구를 입술로 감싸 물을 쭉 빨아들이는 방법이다. 약이 물에 휩쓸려 목으로 잘 넘어간다. 이 방법이 어렵다면 빨대를 이용해도 된다. 정제를 혀 위에 두고 나서 빨대를 이용해 물을 빨아들이면서 약을 삼킨다. 두 번째는 고개를 젖히는 방법이다. 물과 정제를 입에 넣은 다음 목구멍을 원 모양으로 크게 여는 것에 집중한다. 이후 고개를 뒤로 젖히면 약이 부드럽게 넘어간다.
다만, 알약을 삼키기가 어렵다고 약을 쪼개거나 가루 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약을 나누는 과정에서 가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탈모·전립선비대증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피다스테리드 가루는 가임기 여성이 스치듯 닿기만 해도 기형아 출산 위험이 커진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위장에서 서서히 녹아도 속 쓰림 등 위장관 불편을 유발하는데, 가루약으로 먹으면 식도나 위 등을 심하게 자극해 궤양을 일으킬 수 있다.
가루 형태 약이 정제보다 빨리 녹아버리는 것도 문제다. 위나 장에서 녹아야 할 약이 식도에서 녹아버리면 약효 대신 부작용만 얻을 수 있다. 약은 처방해준 대로만 복용하는 게 안전하다. 알약을 도저히 먹지 못하겠다면, 진료받을 때 의사에게 이를 알리고 다른 제형의 약으로 변경할 수 있는지 문의해야 한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