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0~30대 남성 두 명 중 한 명이 비만이며, 약 30%는 당뇨병 또는 고혈압 전 단계에 해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원광대산본병원 가정의학과 김승희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1년) 자료를 바탕으로 19~39세 성인 3609명(남성 1646명, 여성 1963명)을 대상으로 비만 유병률과 관련 질환의 발생 현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 남성 중 체질량지수 25 이상을 기록한 비만율은 45.4%에 달했다. 또 당뇨병 전 단계는 29.2%, 고혈압 전 단계는 31.1%로 나타나, 상당수의 젊은 남성이 대사질환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여성의 경우, 비만율은 20.5%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당뇨 전 단계는 17.7%, 고혈압 전 단계는 12.5%로 분석됐다.
국내 젊은 성인의 비만은 모두 낮은 수준의 교육, 높은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었다. 성별에 따라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달랐다. 남성의 경우, 기혼 여부, 낮은 소득 수준, 과거 흡연 경험, 음주 습관 등이 비만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은 직업 유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여성일수록 비만 위험이 높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20~30대 젊은 성인층에서 비만율이 높고, 당뇨와 고혈압 전 단계 유병률도 상당한 수준임을 확인했다"며 "비만이 대사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당뇨병 전 단계라면 체중 관리, 운동, 건강한 식습관,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당뇨병으로 이어지지 않게도 할 수 있다. 1주일에 최소 세 번 이상, 2일에 한 번씩 운동을 해야 한다. 숨이 약간 차면서 옆 사람과 대화할 수 있을 정도의 중강도 운동을 하루에 30분 이상 하면 된다. 균형 잡힌 식단으로 골고루 제때 식사해야 한다. 정기적인 검진으로 본인의 건강상태를 꾸준히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연구는 대한가정의학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