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앉아서 일하는 사람은 불면증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은 15일(현지 시각) 직업보건 심리학 학술지에 지난 7일 실린 새로운 연구에 대해 보도했다. 이 연구는 10년 동안 1000명 이상의 미국 근로자 데이터를 분석해 직무가 수면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긴 근로자들이 불면증에 걸릴 위험이 약 37% 높았다. 교대 근무를 하거나 야간에 일하는 등 불규칙적으로 일하는 근로자들은 수면 시간이 추가로 필요할 확률이 66% 더 증가했다. 또한 불면증 환자 90%는 10년이 넘어서도 잘 못 자는 증상을 겪거나 심혈관 질환·당뇨·우울증 등 다른 질병에 걸릴 위험이 72~18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책임자이자 사우스 플로리다대 심리학 조교수인 클레어 스미스 박사는 "블루칼라(육체노동자) 집단은 힘든 교대 근무로 수면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화이트칼라(사무직 노동자)는 잠을 잘 자거나 아예 못 자는 경우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는 "수면은 직원의 생산성과 행복에 중요하지만, 우리 직무가 수면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근로자들이 건강한 수면을 위해 근무 방식을 바꾸는 것은 사실상 쉽지 않다. 이에 대해 스미스 박사는 "근무 시간 중 조그마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앉아서 일하는 근로자의 경우 근무 중 짧게라도 시간을 내 움직여야 한다. 틈틈이 일어나 사무실 안을 걸어 다니거나,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 활동은 피로를 느끼게 해주고 수면을 방해하는 근골격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또 근무 시간과 휴식 시간을 확실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퇴근 후에도 계속 업무에 신경 쓰는 경우에는 생체 시계를 방해하게 되고, 수면의 질이 낮아져 추가 수면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기 때문이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