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버몬트 대학 의대의 로버트 샤피로 신경과학 교수 연구팀이 편두통이 있는 5만9천1명(평균연령 41.3세, 여성 74.9%, 백인 70.1%)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평두통을 겪는 사람 3명 중 1명이 편두통 때문에 사회적 낙인을 경험한다고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0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편두통 진단 검사와 편두통에 대한 사회적 낙인 경험을 묻는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했고, 그 결과 41.1%가 매달 4번 이상 편두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1.7%가 편두통으로 인한 사회적 낙인을 자주 또는 아주 자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통은 10명 중 9명은 평생에 한 번은 겪을 만큼 흔하고, 많은 사람이 '꾀병'의 핑계로 손쉽게 두통을 말하는 바람에 '쉬운 질병'같이 인식되지만, 실제로 그로 인한 극심한 통증으로 스스로 인생을 등지는 경우도 있다.
두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두통 자체가 질병인 '일차 두통', 그리고 뇌졸중·뇌종양·뇌염 등 특정 질병으로 인해 두통이 발생하는 '이차 두통'이 있다.
차이는 있지만 일차 두통이 전체의 90%를 차지한다.
일차 두통 중에는 '긴장형 두통'이 80%로 가장 많고, 편두통이 15% 정도를 차지한다. 긴장형 두통은 스트레스나 피로, 좋지 않은 자세 등으로 인해 머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이 조이는 느낌으로 발생하게 된다.
긴장형 두통이 유발 요인이 해소되면서 두통이 사라지는 것과 달리 편두통은 장애가 매우 심하다.
질병으로 인해 삶의 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고통을 평가하는 지표(Years-lived with disability)를 보면 편두통은 사회활동이 활발한 연령(15∼49세)에서 1위이다.
'우울증'보다도 월등히 높은 수준인데 여전히 두통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에 대한 인식은 미약한 상황인 것이다.
편두통의 근본적인 이유는 유전이다. 여기에 스트레스나 수면, 빛, 온도·습도 등 날씨 변화, 월경기·배란기 근처 등 호르몬 변화 등의 유발 요인이 작용한다.
편두통으로 인해 사회적 낙인을 경험한다는 유형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자신이 편두통을 핑계로 2차 이득을 보고 있다고 타인들이 생각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사회적 낙인은 다른 사람들이 편두통의 고통을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깎아내리려 한다는 것이다.
매달 4번 이하의 편두통을 겪는 사람은 25.5%, 매달 15번 이상 편두통을 겪는 사람은 47.5%가 이러한 사회적 낙인을 경험하고 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