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저산소 환경에서 생명력이 강한 암세포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저산소 환경에서 세포가 안정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암세포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향후 항암 신약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대기 중 산소 농도(약 21%)보다 낮은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세포는 살아남기 위해 분자 수준에서 리프로그래밍을 진행하며, 적응에 실패한 세포는 사멸된다.
암세포는 조직 내 저산소 환경에 빈번히 노출되기 때문에, 저산소 적응 리프로그래밍이 더 활발히 일어나 정상 세포보다 생존 확률이 높다.
생명연 김정훈·김정애 박사 연구팀은 저산소 환경에서 히스톤 메틸화 효소인 SETDB1 단백질이 유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게 하며, 이를 제어하면 유전체의 안정성이 깨져 세포사멸이 유도됨을 밝혔다.
연구팀은 SETDB1 단백질이 종양 억제 유전자인 본히펠린다우(VHL)와 결합해 세포 내에서 분해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SETDB1 단백질과 VHL 결합이 약해지고 SETDB1 단백질이 증가하는데, 이를 억제하면 히스톤 메틸화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비정상적 유전자 발현이나 DNA 손상이 발생해 유전체가 불안정해지고 세포 사멸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암과 같은 저산소 적응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분자 표적을 찾은 것"이라며 "향후 SETDB1을 억제하는 혁신 신약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학술지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게재됐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