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부터] 소아신경외과 피지훈 교수, 핵의학과 팽진철 교수
(Photo : )
[사진 왼쪽부터] 소아신경외과 피지훈 교수, 핵의학과 팽진철 교수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DNET)'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발견했다고 29일 병원 측이 밝혔다.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DNET)'은 소아·청소년에게 주로 발병해 경련을 유발하는 희귀한 뇌종양이다. 예후가 좋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빈번하게 재발한다고 한다. 이번에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발견한 것은 이 종양의 재발 위험과 관련된 영상검사 지표이다. 이를 활용하면 환자마다 적절한 수술법을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서울대병원 소아신경외과 피지훈(김주환 전임의)·핵의학과 팽진철(강연구 전임의) 교수팀은 1997년부터 2021년 사이 서울대어린이병원에서 수술 받은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 환자의 메티오닌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MET-PET)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29일 밝혔다.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종양의 재발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빈번했다. 수술 받은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 환자의 20~30%에서 재발이 일어났다는 해외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5명 중 1~2명이 수술 후에도 종양이나 경련을 다시 겪는 것이다. 

이에 연구팀은 재발성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에는 다른 종양과 구별되는 대사적 특징이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MET-PET) 검사를 통해 종양의 대사 활동을 분석했다.  MET-PET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메티오닌' 기반의 방사성 약품을 주입하고, 이 약품이 분포된 모습을 촬영하는 뇌종양 검사기법이다. 종양세포는 MET-PET 영상에서 주변에 비해 밝게 보이는데, 종양에서 메티오닌을 많이 흡수해 대사가 활발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의 메티오닌 흡수량과 수술 후 임상사건(조절 불가능한 경련 재발, 종양 성장, 종양 출혈)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술 받은 환자의 MET-PET 검사 데이터 27개를 분석했다. 데이터는 ▲전절제술(10개, 종양·위성병변 모두 제거) ▲불완전절제술(17개, 위성병변 또는 종양 일부 잔존)로 구성됐다.

분석 결과, 종양의 메티오닌 대사가 활발했던 환자 중 '전절제술'로 종양이 완전히 제거된 환자는 아무도 수술 후 재발이나 경련을 겪지 않았다. 반면 불완전절제술을 받았으며 종양의 메티오닌 대사가 활발했던 모든 환자는 수술 후 경련 또는 종양의 재발을 겪었다. 불완전절제술을 받았지만 메티오닌 대사가 낮거나 보통 수준이었던 환자는 약 27%에서 임상사건이 나타났다.

즉 메티오닌을 많이 흡수하여 종양의 대사가 활발한 환자는 수술 후 종양이 남아있을 경우 재발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커진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피지훈 교수는 "이번 연구로 MET-PET 영상에서 확인되는 메티오닌 대사 활동을 활용해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 환자의 수술 예후를 예측하고, 전절제술이 필요한 케이스를 효과적으로 선별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또 "다른 종양과 구별되는 희귀한 종양인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에 대한 이해를 한 층 높일 수 있었으며, 향후 유전체 분석 기술과 이 결과를 접목한 심도 있는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핵의학(Clinical Nuclear Medicine, IF=10.78)"에 온라인 게재됐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