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종양 환자들은 치룔르위해 수술로 종양을 제거하면서 무너질 수 있는 척추를 나사못으로 단단하게 고정한다. 이 때 등쪽을 보통 30cm 정도로 절개해 척추 4마디 이상을 고정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런데 이제는 이 방식을 일률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환자 개개인에 따라 '최소한의 치료'만 해도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박진훈 교수 · 신홍경 전문의 연구팀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환자 상태, 종양 특성 등을 고려해 상황에 따라 척추 최소 고정 수술법을 적용해왔다.
전이성 척추 종양이 점점 커지면 주변 신경을 눌러 압박하고 결국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환자들이 통증이 크다. 특히 척추에 암이 전이된 환자는 원발암이 말기인 경우가 많다 보니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 때문에 환자들의 건강 상태가 대부분 좋지 않다. 기존 수술법은 등( 30cm 절개하고 암이 있던 부위를 포함해 척추 4마디 이상을 나사못으로 고정)은 수술 범위가 커서 수술 자체가 힘든 환자들도 적지 않다.
이에 신경외과 박진훈 교수팀은 절개 범위를 줄이고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허리를 더 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척추 마디 움직임을 최대한 보존하는 수술법을 연구 및 적용해왔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종양 크기, 위치, 침투 상태 등에 따라 척추를 고정하는 나사못의 길이와 굵기 등을 조정해 종양 제거 후 기존의 절반인 척추 2마디만 고정시키는 수술도 시도했고, 양호한 케이스일 때는 척추 고정을 하지 않고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만 치료하는 수술도 시행하였다.
이같은 맞춤형 수술을 적용한 105명의 치료 결과를, 혈종이나 재발 등 합병증 발생률이 약 6%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기존 방법으로만 수술했을 때 크고 작은 합병증 발생률이 높게는 10~20%까지도 보고되고 있다. 척추 최소 고정 수술법을 함께 적용했을 때 합병증 위험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주관적인 삶의 질 정도를 체크하는 여러 지표(ECOG-PS, KPS 등) 점수도 환자들이 거의 활동 불가능 상태에서 수술 후 어느 정도 일상생활이 가능해졌다고 답할 정도로 크게 향상된 거승로 나타났다.
특히 1년 생존율에서는 기존 수술법과 척추 최소 고정 수술법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암 치료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병원 측은 밝혔다.
박진훈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들에게 '맞춤형' 척추 최소 고정 수술법을 적용하면 기존에 통증이 너무 심해 수술이 필요하지만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수술할 수 없었던 암 환자들을 수술할 수 있는 기회가 늘게 되고, 수술 후 환자들의 합병증 위험이나 통증이 크게 줄어들어 환자 삶의 질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메디신(Medicine, IF=1.817)'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