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 이후 환자들은 여러 합병증에 노출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림프부종이 대표적인 합병증이라고 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암이 림프절까지 전이되면 전이된 림프절 부위를 절제하고 재발을 줄이기 위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다. 바로 이때 림프 조직의 손상으로 림프의 흐름이 단절되어 팔, 다리가 심하게 붓고 만성염증이 생기는 것이 림프부종이다.
림프부종은 암 치료 후 암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합병증이라고 한다. 그런데 예방법이나 치료법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었다. 이 가운데 최근 서울아산병원 의료연구진들이 손상된 림프의 흐름을 회복시키는 인공 구조물을 개발했다고 병원 측이 최근 밝혔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전재용 교수 · 의공학연구소 천화영 박사팀이 림프절 절제술로 림프의 흐름이 끊어진 소동물 모델에 인공 구조물 '림프채널시트'를 이식하는 테스트를 했다고 한다. 그 결과 끊어진 림프의 흐름이 성공적으로 회복됐으며 부종 감소 효과도 확인되었다고 한다.
연구팀은 또 림프채널시트가 단순히 림프의 흐름을 지속시킬 뿐 아니라 새로운 림프관이 재생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새롭게 개발한 림프채널시트에 대한 특허를 취득항 상태다. 현재는 새로운 치료 기술을 완성하기 위해 임상연구를 준비 중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의공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 '생명공학 및 중개의학(Bioengineering&Translational Medicine, 피인용지수 10.684)'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것은 단절된 림프 구간의 흐름을 지속하는 통로 역할과 림프관신생을 위한 지지대(스캐폴드) 역할을 하는 '림프채널시트'이다. 림프채널시트는 미세유체 통로를 포함하는 2차원 구조물로 단절된 림프관 사이를 이어주도록 제작되었고, 기존 기술 대비 비교적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한다.
연구팀은 어깨 림프절(상완림프절)이 제거된 소동물 모델에 림프채널시트를 이식하고 방사선 치료 상황을 재연했다. 상완림프절은 팔의 림프 흐름이 모이는 곳으로, 손과 팔 전체에서 발생하는 림프액을 모아 몸 안쪽 겨드랑이 림프절(액와부림프절)까지 전달해 림프의 흐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면 절제된 림프관은 탄성에 의해 말려 림프관의 재생과 회복이 매우 어렵고, 방사선 치료로 그 주변 림프 조직들의 추가적인 손상이 일어나게 되면 회복될 수 없는 림프 순환 단절이 일어난다. 이는 림프부종 발생의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림프채널시트를 이식한 소동물에 조영제를 주입해 확인한 결과, 상완림프절을 지나는 림프의 흐름이 이식된 림프채널시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지속됨을 해부학적으로 확인했다. 이는 첨단 형광 림프 조영술을 통한 비침습적인 방법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고 한다.
또한 림프절이 절제된 소동물 모델과 림프절 절제 후 림프채널시트를 이식한 소동물 모델의 부종 변화를 8주간 비교 관찰하였는데, 그 결과, 시트 이식 모델에서는 2주차부터 부종이 유의미하게 감소해 7주 후 정상치로 회복한 것을 확인되었다. 림프절 절제 모델에서는 이식 모델에 비해 부종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고, 최종적으로 정상치로 회복하지 못하는 것이 확인됐다.
그리고 이식한 림프채널시트 내부를 조직검사한 결과, 시트 내부의 채널을 따라 미세 혈관 및 미세 림프관이 새롭게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림프채널시트가 림프의 흐름이 단절된 상황에서 림프 흐름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새로운 림프관 재생을 돕는 환경을 제공한 것이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전재용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림프순환장애는 특히 유방암을 포함한 여성암 환자들이 많이 호소하는 수술 후 후유증이지만 아직까지 적절한 예방 및 치료 기술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번 연구가 재생의학 측면에서 림프순환장애의 획기적인 새로운 예방 및 치료 전략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