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관 영상의학과 교수가 연구책임자를 맡아 일본과 대만, 싱가포르 연구팀과 함께 세계 최초로 '부신질환 영상유도 고주파열치료'의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고 밝혔다.
부신은 콩팥 위에 붙은 작은 기관으로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 조절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곳에 생기는 질환으로 부신종양이 흔하다. 대부분의 부신종양은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경우에 따라 혈압상승, 당뇨병, 남성의 여성형 유방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부신에 있는 종양이 호르몬을 분비하면 기능성 종양으로 분류하고 수술로 떼어내는 게 일반적이다. 콩팥과 마찬가지로 제거 수술 후 부신이 하나만 남더라도 전체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어서다.
하지만 최근엔 수술 대신 비침습적 치료가 보편화되면서 부신종양을 치료하는 방법도 바뀌었다. 수술을 버티기 어려운 환자는 물론 미용적 목적에서도 고주파열치료를 택하는 경우가 늘었다.
다만 간이나 신장과 같이 고주파열치료가 활발한 다른 장기와 달리 아직 정형화된 기준이 없는 게 한계로 지목됐다. 현재는 다른 장기 가이드라인을 준용하고 있다.
박병관 교수는 아시아 3개국 대표 인터벤션 전문가들과 함께 부신질환 고주파열치료의 준비에서부터 치료 과정, 치료 후 관리까지 학계에 보고된 관련 임상시험, 논문 등을 토대로 각 단계별로 전문가들이 점수를 매겨 표준화된 방법을 찾고 모두 합의한 내용을 가이드라인에 실었다.
예를 들어 치료 적용 대상환자의 경우 영상의학과와 더불어 외과와 혈액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결정하도록 권고하고, 치료 8시간 전부터 환자가 꼭 금식하도록 했다.
수술과 비교해 아직 장기 치료 성적은 명확하지 않은 만큼 이에 대한 평가는 추후 연구 과제로 남겨뒀다. 다만 치료 성공률 자체는 92~96%로 매우 높고, 수술에 따른 부작용이 없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수술의 경우 장기손상, 출혈, 호르몬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박병관 교수는 "다른 장기에 비해 늦긴 했지만 지금이라도 표준화 치료 모델을 담은 가이드라인이 마련돼 다행" 이라면서 "환자가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대한내분비학회 국제학술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