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간학회(이하 간학회)는 11일 이같이 '코로나19 대응지침 개정안'을 발표했다.
개정안에서 간학회는 "최근 혈전증의 위험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나 만성 간질환자의 경우 감염에 취약하다는 점을 봤을 때 백신 접종에 의한 이득이 위험을 상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결국 백신 접종은 적극적으로 권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학회 측은 만성 간질환자나 간이식 환자의 경우 면역반응이 일반인보다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방역수칙을 지키면서 거리두기를 실천할 것을 권고했다.
간학회는 무엇보다 '코로나19'와 간에 미치는 연구를 통해 이상 빈도는 14~83%로 보고되고 있으며, 대부분 간 기능의 이상은 일시적으로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간학회는 "코로나로 입원환 환자는 간 기능 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해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며 "환자의 간 기능 악화가 지속될 경우 다른 원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간학회는 '코로나19' 대유행을 대비한 간질환자의 관리지침도 내놨다. 우선 간학회는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되지 않은 환자에서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의 치료 시작은 제한하지 않고, 이미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을 치료하고 있는 환자들은 치료를 지속하도록 했다.
또 지침상 '코로나19' 확진자의 경우 B형 간염의 급성 악화가 확인되거나 면역억제치료를 시작해야한다면 치료시작을 고려, C형 간염의 치료는 회복 이후로 연기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간학회는 "간이식도 코로나 감염의 심각성이 증가한다는 근거가 없기에 그대로 진행하지만 기증자나 수혜자 모두 수술에 앞서 음성임을 확인해야한다"며 "무증상자의 장기이식 환자에서 면역억제제 감량이나 mycophenolate 중단은 추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간학회는 "간암 환자의 치료는 입원에 의한 감염 위험을 고려해 치료방법과 시점을 선택해야한다"며 "장비와 인력이 부족하지 않는 한 치료를 미루지 않되 다학제 진료를 통해 진행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