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턱관절장애(K07.6)'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5년간 총 진료인원은 2015년 35만 3천 명에서 2019년 41만 4천 명으로 17.1%(6만 1천 명)가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4.0%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15년 14만 1천 명에서 2019년 16만 8천 명으로 19.0%(2만 7천 명)증가하여 여성 증가율 15.9%보다 높았다. 2019년 기준 '턱관절장애'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 보다 1.5배 높았다.
전체 41만 4천 명 중 20대가 27.7%(11만 4천 명)으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16.0%(6만 6천 명), 10대 이하가 5만 7천 명(13.9%)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대 29.5%, 10대 이하 15.8%, 30대 15.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20대 26.4%로 가장 높았고, 30대 및 40대가 각각 16.5%, 14.5%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문기 교수는 "턱관절장애는 턱관절과 주위 저작근 등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기질적 요인도 있으나 정서적(또는 정신적) 기여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턱관절장애는 스트레스, 불안 또는 우울증 등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성 호르몬(에스트로젠)이 턱관절장애의 병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최근 5년 동안 '턱관절장애' 질환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2015년 700명에서 2019년 805명으로 15.0%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17.1%, 여성은 13.7% 증가했다. 여성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961명으로 남성의 1.5배 높았다.
2019년 턱관절장애 질환 인구 10만 명당 연령별 성별 진료인원은 20대에서 여성 1,992명, 남성 1,347명으로 가장 높아 정점을 이루고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