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중앙자살예방센터(센터장 백종우)는「2019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결과를 8월 13일(목) 발표했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이하 '응급실 사후관리사업')은 자살시도자에 대한 적시 치료와 체계적인 사후관리서비스(상담, 지역사회 자원연계 등)를 제공해 자살 재시도를 막는 데 목적이 있다.
2013년 25개소에서 출발해 2019년에는 전국 16개 시도(세종 제외)의 63개 병원이 사업수행기관으로 참여했다.
결과에 의하면 자살시도자는 여성이 1만 2899명(59.9%)으로, 남성 8,646명(40.1%)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20대(23.0%) 비율이 가장 높았다.
과거 자살 시도 관련, 응답자 1만 6458명 중 7,365명(44.8%)이 과거에도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자살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2,679명 가운데 6개월 내 자살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22명(4.7%)로 나타났다.
자살 시도 동기는 '정신장애 증상'(34.6%)이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 (19.9%), '말다툼 등'(10.9%), '경제적 문제'(8.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신체적 질병' 때문에 비관하여 자살을 시도한 비율(70대 26.0%, 80대 이상 29.7%)이 정신장애 증상(70대 32.2%, 80대 이상 30.3%) 다음으로 높았다.
자살시도자의 절반가량(50.4%)은 음주 상태였고,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87.8%)한 경우가 많았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계획적* 자살 시도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시도 방법은 '약물 음독'(50.1%), '둔기/예기'(18.9%), '농약 음독'(8.4%) 순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은 특히 '약물 음독' 비율(58.0%)이 다른 유형에 비해 크게 높았다.
여성의 경우 자살을 시도해 '도움을 얻으려고 했던 것이지, 정말 죽으려고 했던 것이 아니다'에 응답한 비율(36.8%)이 높았던 반면, 남성은 '정말 죽으려고 했으며, 그럴만한 방법을 선택했다'에 응답한 비율(38.2%)이 높게 나타났다.
사후관리서비스 동의자 1만 1740명 중 사례관리서비스를 4회 이상 받은 7,078명(60.3%)을 대상으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후관리서비스를 진행할수록 △전반적 자살위험도, △알코올 사용문제, △우울감이 호전되고, △자살 생각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관리 초기와 4회 진행 후 자살위험도를 비교했을 때 자살위험도가 上인 사람의 비율은 13.8%에서 6.4%로 7.4%p 감소하였고, 下인 사람의 비율은 42.2%에서 62.5%로 20.3%p 증가했다.
보건복지부 서일환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사람은 다시 자살을 시도할 확률이 일반인보다 20~30배 높다"며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점차 확대해나가는 한편, 위급한 경우 본인의 동의 이전에 개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후관리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위기상황에서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은 고통에서 벗어나려고 죽음을 생각하지만, 자살 시도를 통해 주변에 구조의 신호를 알리고 싶어 하기도 한다"며 "코로나로 더욱 힘든 시기에 지속적으로 사후관리 강화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상호 협력하며 위기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을 연결하겠다"고 전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