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Photo : ⓒWHO 홈페이지 갈무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전 양상으로 흘러가면서 방역대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백신과 치료제가 나오기까지 최소 12개월 이상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할 때 중장기적인 방역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집단면역 형성이 그 대안으로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전 양상으로 흘러가면서 방역대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백신과 치료제가 나오기까지 최소 12개월 이상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할 때 중장기적인 방역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집단면역 형성이 그 대안으로 나왔다.

집단면역 논쟁을 불러일으킨 것은 코로나19 확진자의 주치의로 구성된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다. 중앙임상위는 지난 23일 인구 중 60%가 면역을 얻어야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하며 집단면역 개념을 제시했다.

집단면역은 바이러스에 면역력을 가진 사람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늘려 유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이다.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나 개학 연기 등 억제 정책은 사실상 지속 가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집단면역을 통해 유행을 끝내는 편이 현실적이라는 지적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억제 정책을 계속 이어가다간 국민과 기업의 피해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은 "코로나19의 경우 최소한 인구 가운데 60%가 면역을 가지면 바이러스 확산이 멈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생산지수(1명의 환자가 감염시킬 수 있는 사람 수)를 2.5로 가정하면 5명 중 3명은 항체를 가져야 재생산지수가 1 아래로 떨어지면서 집단면역이 형성된다는 설명이다. 전국민의 2/3가 감염돼야 유행이 종료된다는 가정이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집단면역 개념이 이론에 불과하고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며 선을 그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집단면역이 형성되려면 국내 인구 5000만명 중에서 70%인 3500만명이 감염돼야 하는데 치명률이 1%라는 점을 고려하면 35만명이 사망하는 희생을 치러야 한다"며 "최대한 방역을 가동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서 이런 상황까지 가지 않는 것이 방역당국의 목표"라고 했다.

Copyright © 의약일보